반응형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가끔씩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올 때가 있습니다. 타이어의 상태는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타이어의 공기압 관리방법과 공기압을 셀프로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타이어-공기압-경고등
타이어-공기압-경고등

  • 노란색 경고등이 뜨면 처음 보시는 분들은 이게 뭐지?? 라고 생각하시면서 검색을 해 보실 겁니다. 노란색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뜨면 일단 내려서 타이어 상태를 체크하셔야 합니다. 도로에 버려진 나사(피스)나 유리조각 등이 타이어를 펑크 내고 있을 수도 있으므로 필히 타이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 만약 피스나 유리조각에 의해 타이어가 펑크가 났나면 바로 보험 회사 긴급출동을 이용하셔서 조치를 받으시면 됩니다.
  • 타이어 펑크 같은 경우에는 한쪽 타이어만 공기압이 완전히 빠진 것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만약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 4개의 타이어 공기압이 전체적으로 빠져 있으면 다시 공기압을 주입하시면 됩니다.

펑크난-타이어
펑크난-타이어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 기온이 급강하는 겨울철이 되면 타이어 공기압도 같이 빠지게 됩니다. 공기는 온도가 낮으면 부피와 압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타이어 공기압도 같이 줄어들게 되어서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 어느 정도 주행을 하게 되면 다시 온도가 올라가면서 타이어 공기압도 같이 상승하는 것을 보실 수는 있지만, 아침에 시동을 걸었을 때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점등되었다면 반드시 공기압을 보충해 주셔야 합니다.
  • 4계절 모두 적정한 타이어 공기압은 같습니다. 다만 겨울철에는 온도에 민감하므로 빠지게 됩니다.
  • 보충을 할 때 겨울이라고 해서 기준보다 더 넣으실 필요는 전혀 없으시고 딱 차량 기준에 맞는 타이어 공기압만큼만 추가로 주입을 해 주시면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 Psi, kpa

  • 내 차의 적정 공기압은 운전석 문을 열어보시면 아래 사진처럼 붙어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타이어 공기압 Psi와 kpa는 압력의 단위 입니다.
  • 차량마다 표현되는 압력이 다르니 자신의 차량에 알맞은 압력으로 보충해 주시면 됩니다.
  • 38 Psi = 261.999864 kPa입니다.

타이어-표준-공기압-표
타이어-표준-공기압

타이어 공기압 주차장에서 셀프로 주입하기

타이어-공기압-보충하는-키트
타이어-공기압-보충-키트

  • 내 차의 트렁크에 보면 타이어 공기압을 셀프로 보충할 수 있는 키트가 들어 있답니다. 이런 키트가 내차에 들어있는지 모르는 사람들도 많이 계십니다.
  • 트렁크 바닥을 열어보시면 대부분 있고, SUV 같은 경우는 측면에 있는 경우도 있답니다.
  • 키트에 사용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사실 뭐 크게 어려운 것은 없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시거잭에 키트를 연결
  2. 보충할 타이어 공기압 마개를 열어주세요.
  3. 키트의 라인을 타이어에 연결해주세요.
  4. 스위치를 ON 시켜 보충해 주세요. (소음이 발생되니 청각에 예민하신 분들은 주의하세요!)
  5. 게이지를 보거나, 차량 운전석에 Diplay 되는 것을 확인하시고 보충하시면 됩니다.
  6. 타이어 공기압이 너무 많이 주입되었을 경우에는 노란색 버튼을 눌러서 공기압을 빼 주시면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4개 모두 적정하게 잘 보충하셨습니까? 근처의 정비업체에 가서 공기압 보충을 해도 되지만 직접 해야 하는 경우도 알아놓으시면 편할 것입니다.

공기압 보충 후 주행을 해보면 핸들이 가벼워지고 차가 부드럽게 잘 나간다는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발생했을 때는 타이어가 노면에 마찰이 많이 되다 보니까 핸들을 돌릴 때 뻑뻑하고 무거운 느낌이 드셨을 텐데 적정 타이어 공기압으로 보충하고 나면 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핸들이 가볍고 차가 쭉쭉 잘 나간답니다. 연비 상승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Recent posts